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세월이 가면'과 시인 박인환 (1):세종경제신문
로고

'세월이 가면'과 시인 박인환 (1)

이정식 / 언론인 | 기사입력 2014/12/25 [20:52]

'세월이 가면'과 시인 박인환 (1)

이정식 / 언론인 | 입력 : 2014/12/25 [20:52]
▲ 강원도 인제에 있는 박인환 문학관과 박인환 청동상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1970년대 통기타 가수 박인희가 불러 히트한 <세월이 가면>이란 노래가 있다. “지금 그사람 이름은 잊었지만...”으로 시작되는 이 노래의 노래말은 서른살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박인환(朴寅煥, 1926-1956)의 시다.

이 노래는 6.25전쟁이 끝나고 3년쯤 지난 1956년 초봄에 만들어졌다. 명동에 경상도집이라는 주점이 있었다. 여기에서 어느 날 시인 박인환을 비롯해 극작가 이진섭, 언론인 송지영, 가수 나애심 등 몇 사람이 술을 한잔 하고 있었다. 참석한 사람들이 나애심에게 노래를 한곡 불러달라고 졸랐다. 나애심이 ‘부를 노래가 없다’며 꽁무니를 뺐다. 나애심은 ‘과거를 묻지 마세요’ ‘미사의 종’ 등 히트곡을 낸 당시 유명했던 가수이자 배우다.

이때 박인환이 종이에 뭔가 끄적이더니 앉은 이들에게 보여줬다. ‘세월이 가면’이란 제목이 붙은 시였다. 이 시를 읽고 샹송에 일가견이 있고 작곡도 할 줄 아는 이진섭이 즉석에서 샹송풍의 곡을 붙였다. 후에 히트곡이 된 ‘세월이 가면’은 이렇게 태어났다.

처음엔 나애심이 콧노래로 흥얼거리며 가락을 따라불렀는데, 나중에 합석한 테너 임만섭이 우렁찬 목소리로 이 곡을 노래하자, 지나가던 행인들이 노래 소리에 끌려 걸음을 멈추고 박수를 보냈다고 한다.

6.25 전쟁의 상처가 아물지 않았던 1950년대 중반, 그 시절 명동이 만들어 낸 걸작이라는 평을 받는 시이자 노래다.

▲ 시인 박인환

세월이 가면 (박인환 시)

 

지금 그 사람의 이름은 잊었지만,

그의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어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고 과거는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치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의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어

내 서늘한 가슴에 있건만

 

이것이 원래의 시이다. 우리가 아는 노랫말은 이와 조금 다르지만 문제 될 정도는 아니다. 원본 시와 노래 가사가 눈에 띄게 다른 부분은 “사랑은 가고 과거는 남는 것”을 “사랑은 가도 옛날은 남는 것”으로 바꾼 것이고, 원본 시 맨 마지막 행의 “내 서늘한 가슴에 있건만”을 “내 서늘한 가슴에 있네”로 바꿔 가사 마지막 행으로 붙인 것이다. 그리고 후반부를 후렴처럼 반복했다. 가수 박인희가 부른 <세월이 가면>의 노래 가사를 아래에 다시 적는다.

 

세월이 가면 (박인희 노래 가사)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네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도 옛날은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치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내 서늘한 가슴에 있네

▲ 가수 박인희의 LP앨범 표지

(계속)

  • 도배방지 이미지

포토/영상
이동
메인사진
무제2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