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늦은 결혼으로 남성 불임 늘어났다…스트레스 고령화도 원인:세종경제신문
로고

늦은 결혼으로 남성 불임 늘어났다…스트레스 고령화도 원인

김민철 | 기사입력 2014/01/13 [21:24]

늦은 결혼으로 남성 불임 늘어났다…스트레스 고령화도 원인

김민철 | 입력 : 2014/01/13 [21:24]
▲ 서울 시내 유명 불임클리닉 센터 입구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불임’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08년 16만2천명에서 2012년 19만1천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하였다.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11.8%, 여성 2.5%로 남성에서 두드러진 증가세를 드러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남성에서 불임이 크게 증가한 이유에 대하여 “과거에는 불임을 모두 여성의 책임으로 전가하려는 사회적 풍조가 있었으나 불임의 원인 제공은 남성인자도 분명히 있는 바, 근래에 남성 인자에 대한 검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불임 치료를 받는 남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한 “업무 스트레스, 고령화, 환경 호르몬 등으로 인한 남성인자의 증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실제로 남성인자 검사 전 약 10일 정도 금욕 생활을 하고 금연, 금주 후 검사를 하면 과거 정자의 운동이 좋지 않았던 경우도 회복되어서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가임여성(20~49세)의 나이를 고려하여 최근 5년 동안(2008~2012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35~44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16.2%) 하였고, 그 뒤를 이어 45~49세에서 연평균 12.8% 증가하였다. 

여성은 35~39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10.8%) 하였고, 그 뒤를 이어 40~44세에서 연평균 10.5% 증가하였다. 

2012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는 30~34세 여성이 3,65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35~39세 여성이 1,920명, 25~29세 여성이 1,352명 순으로 나타났다. 

30대 후반, 40대 초반에서 불임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하여 정재은 교수는 “결혼 시기가 30대 초반 이후로 늦추어지고, 사회적 기반을 잡은 후 본격적으로 임신을 시도하는 시기가 30대 중반으로 늦춰지는 경향이 있다. 

통상 결혼 후 1~2년은 자연 임신을 시도하다가 실패한 후 병원을 찾게 되는 시기는 35세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20대에서 불임이 감소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추측하기로는 결혼 적령기가 20대 중반이 아닌 30대 초반으로 고령화되며, 20대에 사회적 기반을 잡기 위하여 임신을 미루는 상황에서 불임 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되지 않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불임’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8년 182억원에서 2012년 230억원으로 1.3배 증가하였으며, 건강보험공단에서 지급한 2012년 급여비는 143억원이었다. 

  • 도배방지 이미지

포토/영상
이동
메인사진
무제2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많이 본 기사